🩺 여성 건강

임신 중 질염, 조산위험 증가?

seodoc 2025. 3. 19. 22:12
728x90
반응형

📂 카테고리 | 여성건강  
📌 오늘의 주제: 임신 중 질염과 조산의 연관성  
✒️ 작성자: 서닥  
🔎 키워드: 임신 질염, 조산 위험, 세균성 질염, 트리코모나스, 칸디다

 

 

 

안녕하세요, 서닥입니다!
뭐든 조심스러운 임신기간. 원래도 있었던 질염 증상이 경미한데 계속 방치해도 될지 궁금한 분들 계실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신 중 질염과 조산위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세균성 질염(BV)과 조산 위험
  2. 트리코모나스 질염(TV)과 조산 위험
  3. 칸디다 질염과 조산 위험
  4. ⚠️ 질염별 조산 위험 요약
  5. ✅ 임신 중 질염 치료 시 주의사항


1. 세균성 질염(BV)과 조산 위험

 

세균성 질염은 질 내 유익균(락토바실러스)이 감소하고 혐기성 세균이 증식하면서 발생하는 감염입니다.

✅ 임신 중 세균성 질염이 문제되는 이유
• 혐기성 세균이 자궁 경부를 통해 올라가면 양막염(Chorioamnionitis)을 유발할 수 있음
• 양막염이 발생하면 조기양막파열(PPROM), 조산, 저체중아 출산 위험 증가

📊 관련 연구

• 2022년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연구에서는 임신 중 세균성 질염이 조산 위험을 약 2배 증가시킨다고 보고함.

• 특히, 16~20주 사이 BV 진단을 받은 여성은 조산 위험이 더욱 높음.

• *미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도 임신 중 BV가 조산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함.

➡ 임신 중 세균성 질염은 반드시 치료하는 것이 조산을 예방하는 데 중요함.

 


 

2. 트리코모나스 질염(TV)과 조산 위험

 

트리코모나스 질염은 기생충 감염으로 생기는 성병(STI)입니다.


✅ 임신 중 트리코모나스 질염이 문제되는 이유
• 감염이 자궁경부를 통해 퍼지면서 태반 감염, 조기양막파열, 조산 위험 증가
• 감염이 지속되면 저체중아 출산 위험 증가

📊 관련 연구
• 2021년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연구에서는, 트리코모나스 감염이 조산 위험을 약 1.8배 증가시킨다고 보고함.
• CDC도 임신 중 트리코모나스 감염이 조산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고 권고.

💡 결론:

항생제 치료 반드시 필요, 성 파트너 동시 치료 권장


3. 칸디다 질염(Candidiasis)과 조산 위험

칸디다 질염은 곰팡이(진균) 감염으로 발생하며, 임신 중 흔하게 나타납니다.

📌 조산과의 관계

  • 직접적 조산 유발은 하지 않음
  • 다만, 심한 감염 or 면역 저하 상태에서는 다른 감염과 겹쳐 간접적 위험 가능성 존재


✅ 조산 위험과의 관계
• 칸디다 질염 자체가 조산을 직접적으로 유발하지는 않음
• 다만, 심한 감염이 있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다른 감염이 동반될 경우 간접적으로 조산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은 있음

📊 관련 연구
• 2020년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연구에서는, 칸디다 질염이 단독으로 있을 때는 조산 위험 증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었음.
• 하지만, 세균성 질염(BV)과 함께 있을 경우 조산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 칸디다 질염은 불편감을 유발하지만, 단독으로 조산 위험을 높이지는 않음. 그러나 증상이 심하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 4. 질염별 조산 위험 요약

질염 종류조산 위험치료 필요성
세균성 질염 (BV) ⬆️ 높음 (2배 이상) ✅ 치료 권장
트리코모나스 질염 (TV) ⬆️ 높음 (1.8배) ✅ 치료 필수
칸디다 질염 ❌ 직접 위험 낮음 ⚠️ 증상 심한 경우 치료 고려

 


✅ 5. 임신 중 질염 치료 시 주의사항


✅ 세균성 질염(BV)과 트리코모나스 질염(TV)은 조산 위험 증가
• 조산을 예방하기 위해 임신 중 진단되면 항생제 치료가 권장됨
• 특히, 세균성 질염이 있을 경우 임신 2기 이전(16~20주)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

❌ 칸디다 질염은 조산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 하지만 불편감이 심하거나 감염이 지속될 경우 치료 고려



🔎 최종 정리

✔ 세균성 질염(BV)과 트리코모나스 질염(TV)은 조산 위험 증가 → 치료 필수
✔ 칸디다 질염(Candidiasis)은 조산과 직접적인 연관 없음 → 심한 경우 치료 고려

✔다만 임산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는 임신 시기별로 다르고 개인의 상태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반드시반드시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해야합니다.
(임신중에는 모든 약을 조심해야하는 것은 모두 알고 있으실 테니..)

 

 

📚 출처  
1.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2022.  
2.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21.  
3. CDC. Bacterial Vaginosis & Trichomoniasis in Pregnancy.  
4. Obstet Gynecol Sci. 2020.  
5. 서닥의 일상의학이야기 (2025). https://seodoc.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