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건강

아스피린, 심장병 예방에 정말 효과적일까? 부작용과 피해야 할 사람 정리!

seodoc 2025. 3. 10. 18:38
728x90
반응형

앞선 글에서는 아스피린의 기능, 타이레놀과의 차이점 등에 대해 살펴봤죠?
 

2025.03.10 - [일상속 의학] - 아스피린, 매일 먹어도 될까? [타이레놀과 차이점까지 한번에 정리!]

 

아스피린, 매일 먹어도 될까? [타이레놀과 차이점까지 한번에 정리!]

아스피린, 매일 먹어도 될까? (장기 복용의 효과와 위험성)아스피린(Aspirin, 아세틸살리실산)은 대표적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로, 해열, 진통, 항염 작용뿐만 아니라 혈소판 응집 억제

seodoc.tistory.com

 

아스피린은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무조건 좋은 선택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출혈 위험이 있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해로울 수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아스피린의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복용하면 안 되는 사람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아스피린,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일까?


아스피린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이런 특성 때문에 심근경색이나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된다.

✅ 아스피린의 혈전 예방 효과
• 혈소판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해하여 동맥경화로 인한 혈전 생성 억제
•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 감소

🔍 연구 결과: 아스피린은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일까?

1️⃣ 2차 예방 (이미 심혈관질환이 있는 경우)
• 기존에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을 겪었던 환자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75~100mg/day)을 꾸준히 복용하면 심혈관질환 재발 위험이 25% 감소
• 즉, 심장병 병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아스피린이 확실한 효과가 있다.

2️⃣ 1차 예방 (건강한 사람이 미리 복용하는 경우)
• 그러나 심혈관 질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이 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은 논란이 많다.
• 연구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이 아스피린을 복용했을 때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는 미미하지만, 출혈 위험은 크게 증가했다
• 최근 미국심장학회(ACC)와 미국심장협회(AHA)는 60세 이상 성인에게 아스피린을 심혈관질환 1차 예방 목적으로 권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2022 ACC/AHA Guidelines).

✅ 결론: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사람(2차 예방)에게는 효과적이지만, 건강한 사람이 무조건 복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오히려 부작용만 생길 수 있다는 이야기!)


 

아스피린의 부작용, 정말 위험할까?


아스피린의 가장 큰 부작용은 출혈 위험 증가다. 특히 장기간 복용하면 위장 출혈뇌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위장 출혈 위험 증가
• 아스피린은 위벽을 보호하는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위궤양, 위출혈 위험이 커진다.
• 특히 위궤양 병력이 있거나, 스테로이드·NSAID(이부프로펜)와 함께 복용하면 위험이 커진다.
• 연구에 따르면, 아스피린 장기 복용자는 위장 출혈 위험이 일반인보다 2~3배 증가한다

⚠ 뇌출혈 위험 증가
• 고령자나 혈압이 높은 사람이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뇌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연구에 따르면, 60세 이상 성인에서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뇌출혈 위험이 1.4배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JAMA Neurology, 2021).

⚠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
• 장기간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신장 혈류 감소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 특히 만성 신장질환 환자는 의사와 상의 후 복용해야 한다.




아스피린, 누구에게 좋고 누구는 피해야 할까?

 

복용금지에 해당하는 사람은 자체적으로 복용하고싶다고 해서 아스피린을 그냥 복용해서는 안된다.. 항상의사와 상의가 필요.

✅ 고혈압 환자는 아스피린을 먹어야 할까?
• 고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는 경우라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다면 복용을 고려할 수 있다.
• 하지만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뇌출혈 위험이 높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 당뇨병 환자는 아스피린을 먹어야 할까?
• 당뇨병 환자는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지만, 무조건 아스피린을 복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경우(고혈압, 고지혈증 동반)에는 의사 상담 후 복용 가능하다.



결론: 아스피린, 심혈관 건강을 위해 무조건 먹어야 할까?


✔ 이미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을 겪은 사람 → 복용하면 효과적! (재발 방지)
✔ 건강한 사람이 예방 목적으로 먹는 것? → 별로 효과 없고 출혈 위험만 증가
✔ 고혈압, 당뇨병 환자? →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다면 의사 상담 후 복용 가능
✔ 위궤양, 위장 출혈 병력이 있다면? → 아스피린 복용 금지

아스피린은 강력한 항혈소판제이지만, 모든 사람이 복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건강한 성인이 심장병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을 먹는 것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이 너무 어려웠다면 댓글남겨주세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

728x90
반응형